지난 9월 초 매경MBA 지면을 통해 서튼 교수가 악질 직원, 악질 상사가 조직에 큰 폐해를 미친다는 주장을 하였지요. 직원의 업적을 빼앗고 기운 빠지게 하며 초라한 느낌이나 수치심, 모욕감을 주는 상사가 결국 조직을 파괴한다고 합니다.
조직의 스트레스 수준을 평가할 때 개인 검사 결과를 단순 비교해서는 오진(誤診)을 하게 됩니다. 조직에 결정적인 위해를 끼치는 것은 스트레스 검사에 0점으로 응답한 직원들입니다. 통상 5% 이내 간부들입니다.
이들의 특징은 늘 자기는 뒤끝이 없다고 합니다. 뒤끝은 없는데, 그 대신 '앞끝'이 있어서 문제지요. 직원들 가슴에 대못을 박아놓고도 자기는 전혀 모릅니다. 그러나 사람 감정에 입힌 상처는 조직에 큰 흉터를 남깁니다.
둘째, 태도가 카멜레온처럼 바뀝니다. 정신의학적으로는 착취적인 성격이라고 합니다. 남을 잘 이용하고 부하 직원의 열정을 대가로 자기를 내세웁니다. 만만한 사람에게 아주 공격적이고 윗사람에게는 잘합니다.
스트레스 많이 받는 사람은 사실 회사에 충신입니다. 회사 일을 내 일처럼 열심히 하니까 스트레스를 받는 거죠.
예전에는 못난 것이 나쁜 것보다 더 조직에 손해를 끼친다고 여겼습니다. 일 잘하면 다 용서했습니다. 그러나 이젠 나쁜 것이 더 문제입니다. 당장의 성과 때문에 악질을 뽑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됩니다. 조직이 커졌는데 성장은 정체되는 시기가 오면 반드시 큰 갈등과 분란이 생깁니다. 능력에 큰 차이가 없다면 조직원을 배려하고 커뮤니케이션을 성실하게 잘하는 사람이 낫습니다.
이왕 뽑은 임원이라면 제3자에게 한번은 객관적인 피드백을 받도록 해주세요.더 큰 역할을 맡기고 싶은데 그러려면 리더십을 보완해야 한다는 취지지요. 보완이 안 된다면 빨리 이별을 준비해야 할 것이고요.
그러나 사장님 본인이 악질이라면 얘기는 심각해집니다. 그러면 악질이 조직 내 행동 기준이 되어버립니다. 악행은 선행보다 5배나 전염력이 강하니까 그 밑에 있던 토끼처럼 순한 직원들은 다 퇴사하고 직언할 사람은 아무도 없는 상황이 벌어질 것입니다. 바보의 천국입니다.
[우종민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신경정신과 교수]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원본 : http://media.daum.net/economic/others/view.html?cateid=1041&newsid=20101001144523959&p=mk&t__nil_economy=uptxt&nil_id=3
이런사람 꼭 있다...
'취미생활 > 재미난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PT야 Bluetooth를 주제로 소설을 써줘 (0) | 2024.07.08 |
---|---|
인공지능 글쓰기 (0) | 2024.07.06 |
‘파파라치’ 양성 학원 피해주의보 발령 (1) | 2012.04.16 |
언론플레이 최강자 (3) | 2010.10.22 |
역대 최악의 포토샵 TOP 12 (1) | 2010.02.06 |
울면서 웃기 (0) | 2009.05.16 |
탈북자 2명 대사관 자료 훔쳐 탈출 … 영사 협박[중앙일보] (0) | 2009.05.06 |
지식인 (1) | 2009.04.13 |
심리테스트 (5) | 2009.03.27 |
프랑스 축구신동 마딘 모하메드(6세) (1) | 2009.03.16 |